교육

[스크랩] 금형이란?

산적8 2007. 6. 9. 09:45
금형이란 "동일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틀"을 말합니다.

금형을 사용 함으로써 얻는 장점

1. 생산제품, 부품의 치수 정밀도가 높다.
2. 제품규격이 동일하여 호환성이 있고 조립 생산이 쉽다.
3. 제품생산시 금형을 이용하면 특수기술이나 숙련기술 없이도 제품을 만들 수 있다.
4. 제품의 외관이 깨끗하고 모델의 변경이 쉽다.
5. 신제품의 개발 또는 모델의 변경이 쉽다.
6. 제품의 생산시간이 단축된다.
7. 다른 생산 방법보다 종업원 수를 줄일 수 있어 인건비가 절약된다.

    컴퓨터 등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무인 생산공장 운영도 가능하다.
8. 두께가 얇은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무게도 줄일 수 있다.

금형의 용도에 따른분류

1. 플라스틱 금형
    플라스틱 수지를 녹여 일정한 형상에 사출하여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형

2. 프레스 금형
    고체의 금속 재료를 상하의 금형을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여 그 형상을 만들때 사용되는 금형

3. 다이캐스팅 금형
    비철금속을 녹여 일정한 형상에 사출하여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형

4. 주조 금형
    금속을 녹여 주입 후 특별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그 형상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금형

5. 단조 금형
    고체의 금속재료를 두들겨 압력을 가하여 그 형상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형

6. 고무 금형
    고무원료를 삽입 후 가압 가열한 후 용융 경화시켜 그 형상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형

7. 분말 야금 금형
    금속분말을 상온에서 고압에 의해 입자를 밀착시켜 그 형상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형

8. 유리금형
    유리재료를 녹여 일정한 형상에 주입 후 그 형상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형

9. 요업 금형
    유리이외의 요업재료(세라믹,타일 등)에 압력을가하여 그 형상을 만들때 사용되는금형

10.일반 금형
     일반적으로 하형은 제품의외형을, 상형은 이에 맞추어 펀치부를 만든다.


* 국내 금형 공업의 발달 과정

우리 나라의 금형 공업은 서양의 여러 나라에 비하여 늦게 시작되었다. 일본의 19세기


중엽부터 금형계 1차 대전을 계기로 서서히 발전하여 2차 대전 이후에 와서야 급속히

발전되었다.우리 나라는 1940년경 수작업 위주로 금형을 만들기 시작하여 1950년대

이후에 와서야 범용 공작 기금형을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1970년경부터 정밀가공용

기계의 도입으로 프레스 금형, 사출 금형 등 생산이 시작되었다.


◎ 60년대 중후반부터 단순한 금형을 생산하기 시작하였고 70년대 중반부터 전자공업 및
중화학 공업이 발전되면서 정밀가공용 프레스금형과 프레스금형이 생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 80년대에는 반도체, 전자, 전기용품금형 등으로 다양화 되었으며,

   금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위하여 대학, 전문대학, 기능대학에 금형관련학과가 개설되었습니다.


◎ 80년 후반기부터 정부의 금형공업 육성시책에 힘입어 국내 금형공업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는 전환기가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범용금형을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각국에 수출하기 시작 하였습니다.


◎ 91년 이후 CMC 공작기계와 CAD/CAM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93년부터는 종업원 30명 이상의 업체에 첨단설비 및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습니다.


* 사출금형이란 사출성형기로 작업 할 수 있는 금형틀을 말함...

   즉, 상단에 이미 적어놓은 plastic금형이 대표적임.

출처 : 꿈★은 이루어진다
글쓴이 : 부산갈매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