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제목 |
언더 컷(under cut)이 있는 성형품의 처리 | | |
|
6장 언더 컷(under cut)이 있는 성형품의 처리
6. 1 언더 컷(under cut)의 개요
일반적으로 성형품은 사출기가 열리는 방향으로만 취출이 가능하다. 성형품 기능이나 용도상 사출기가 열리는 방향의 운동만으로 빼낼 수 없는 경우 즉, 성형품의 구멍이나 돌출 또는 오목한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언더 컷이라 하며 성형품의 내측에 언더컷이 있는 것을 내측 언더컷, 외측에 있는 것을 외측 언더컷이라 하며 내측 언더컷이 외측 언더컷보다 처리하기가 복잡하다.
☆ 성형품에 언더컷이 있는 경우
1. 금형가격이 비싸진다.(금형구조의 복잡) 2. 금형부품의 오작동 등에 의한 금형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3. 제품에 파팅라인의 흔적이 남는다. 4. 성형사이클시간이 길어진다.
☆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므로 성형품의 설계단계에서 가급적 언더컷을 피하는게 좋으나 기능 및 용도상 꼭 필요한 경우 언더컷의 처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용된다.
1. 강제로 밀어내기 2. 캐비티를 분할하는 구조 3. 슬라이드코어(Slide Core)형 구조 4. 나사부품을 위한 분할 및 회전형 구조
6. 2 언더컷의 처리 방법
6. 2. 1 강제로 밀어내는 방법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이 연질이며 탄성이 좋은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할 경우 어느 정도의 언더컷이 있어도 탄성을 이용하여 취출시킬 수가 있다.
☆ 방법(2가지) 1) 스트리퍼판(Stripper Plate)으로 밀어서 취출시키는 방법 2) 손으로 잡아 벗겨 내듯이 취출시키는 방법.
1) 스트리퍼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방법 대형제품으로 손으로 밀어내는 것보다 효과적일 때 사용한다. 구조적으로는 스트리퍼로 밀 때 언더컷이 된 쪽의 반대방향으로 제품이 벌어질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제품의 끝면이 둥글고 스트리퍼 내측이 파져 있기 때문에 스트리퍼가 전진해도 제품이 벌어지지 않고 오무라지는 현상이 있어 취출이 어렵다
2) 손으로 강제 이형(취출)하는 방법 성형품이 구조적으로 얇고, 유연성이 있도록 설계되고 수지가 연질이고 탄성이 좋을 경우 손으로 언더컷 부위를 손으로 강제 이탈시켜 취출시키는 방법이다.
6. 2. 2 코어 및 캐비티의 일부분의 구조변경에 의한 처리방법
캐비티전체를 2분할하는 분할형과 언더컷 부분만 분할하여 처리하는 슬라이드 블록형의 2가지 형태가 있으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분할형 분할된 캐비티 전체 또는 일부분을 기계적 또는 유, 공압적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시켜 캐비티 일부분이 열리고 닫힘에 의해 언더컷 된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취출될 수 있는 방법이다. 구조는 고정측이나 가동측 어느 한 쪽의 형판 위에서 습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할된 캐비티는 사출시 닫혀지고 취출시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출시 닫혀진 분할 캐비티는 분할캐비티가 설치되지 않은 캐비티에 설치된 록킹 블록(Locking Block)에 의하여 캐비티가 강한 사출압에 뒤로 후퇴하지 않도록 록킹(체결)된다.
2) 슬라이드 블록형(Slide Block) 일명 사이드코어(Side Core), 슬라이드코어(Slide Core), 사이드 캐비티형으로도 불리운다. 언더컷 부분 또는 취출상의 장애가 있는 부분만 분할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가동측형판의 사이드쪽, 즉 열림방향의 직각방향에 가동부분을 설치하고 고정측 형판에 앵귤러핀(Angular Pin), 도그레그(Dog Leg) 캠(Cam), 판캠, 유공압 실린더 등으로 스라이딩 이동시킴으로 언더컷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3) 분할형과 슬라이드 블록형의 비교 한 제품을 분할형과 슬라이드 블록형으로 설계를 할 수 있다.
방식의 채택 a) 코어의 강도 b) 코어 및 캐비티의 크기 c) 분할캐비티의 원할한 이송 및 반복운동의 정확도
4) 슬라이드 코어의 명칭과 역학 슬라이드 코어의 명칭과 역할을 설명하였으며 생산수량 관련 적정 재료의 선택을 위한 사용재료목록을 설명하였다.
표 6. 2 슬라이드 코어 부품
| | |